Gradle dependencies(compileTimeClasspath, runtimeClasspath)
이번 학습을 통해 몇 가지 의미있는 것들을 배웠다.
DevOps 태그가 포함된 포스트들입니다.
이번 학습을 통해 몇 가지 의미있는 것들을 배웠다.
`스프링 컨테이너`에 `Bean`을 등록하는 방법은 다양하다.
`스프링 컨테이너`에 `Bean`을 등록하는 방법은 다양하다.
Logstash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하였다. 진행 중 발생했던 이슈와 해결 방법을 위주로 기록한다. SBDS ~ USER 설계 전체적인 구조는 위 그림과 같다.
> 설치 환경은 **Ubuntu 16.04 LTS** 이다.
몇몇 자료에서는 **_엄밀히 따지면 톰캣은 WAS가 아니다_** 라고 말한다.
기존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면서 빌드 도구로써 메이븐을 사용했었다. 단순히 디펜던시 라이브러리를 자동으로 다운로드 해주는 기능으로만 사용했던 빌드도구(그레이들)에 대해 학습해 본다.
그동안 IDE에서만 웹 컨테이너(톰캣)을 구동함으로써 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테스트하느라 실제 운영시 배포 방법에 대해서는 고민해 본적이 없다.